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템퍼
- 도징링
- 빈플랜트커피용품
- 템핑
- 빈플랜트
- 탬핑스테이션
- 바텀리스
- 커피용품
- 탬핑매트
- 바리스타용품
- 빈플랜트샷잔
- 커피템퍼
- 포터필터거치대
- 카페청소솔
- 디스트리뷰터
- 커피머신청소솔
- 칠침봉
- 빈플랜트템퍼
- 템핑스테이션
- 탬핑
- 바텀리스포터필터
- 도징툴
- 레벨링툴
- 침칠봉
- 탬핑용품
- 커피탬퍼
- 포터필터
- 커피청소솔
- 템핑매트
- 탬퍼
- Today
- Total
목록빈플랜트 (65)
빈플랜트

[빈플랜트 푸쉬 탬퍼] 기존 '듀얼 스프링 템퍼'과 더불어 심플한 디자인과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푸쉬 템퍼' 출시되었습니다. 한쪽으로 기울어질 염려 없이 간단하게 눌러 균일한 밀도로 수평적인 탬핑을 경험해 보세요. - 실측 3가지 사이즈 [51.0mm / 53.35mm / 58.35mm] - 2가지 색상 [실버 / 블랙] 높이조절이 가능한 푸쉬 템퍼 빈플랜트 푸쉬 템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습니다. 포터필터 바스켓과 그룹헤드 헤드스페이스를 고려한 푸쉬 템퍼의 높이를 설정 후 템핑 전 포터필터를 간단하게 꾹 눌러주기만 해도 균일하고 수직적인 탬핑이 가능합니다. 홈카페 및 상업용 커피머신에도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해당 사이즈에 맞게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블랙 색상 블랙 색상의 고..

카페일을 하다 보면 커피퍽을 버리는 과정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바쁜 러쉬 타임 떄 커피퍽을 버리는 과정은 쉽지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 소개드릴 상품은 빈플랜트 스탠드 넉박스입니다. 빈플랜트 스탠드 넉박스는 10kg 정도의 커피퍽(커피케이크)을 버릴 수 있는 대용량 넉박스로 아메리카노 기준 400~500잔 정도의 커피를 내려야 가득 찰 정도로 대용량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더불어 860mm의 인체공학적 설계로 커피퍽을 버릴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넉박스봉이 있어 허리를 굽히거나 힘을 과하게 들이지 않아도 쉽게 커피를 버릴 수 있습니다. 스탠드 넉박스 상단의 헤드는 넓은 아치형의 가드를 가지고 있어 포터필터를 넉박스에 털어낼 때 커피퍽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막아줍니..

안녕하세요. 커피에 가치를 더하다 빈플랜트입니다. 커피를 도징한 후 탬핑전에 시행하는 레벨링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레벨링툴은 포터필터 바스켓 내부의 분쇄된 원두를 균일한 밀도로 도징이 되도록 도와주는 도징툴입니다. 예전에는 포터필터 내부에 원두를 담고 탬핑으로 마무리를 하였지만 채널링의 발생 및 균등한 커피추출이 되지 않아 레벨링툴의 사용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레벨링툴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채널링 현상(물총현상) 입니다. 채널링 현상이 발생한다는건 바스켓 내부의 밀도가 균일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약한쪽으로 물이 흐르는데 크랙이 발생하여 커피를 스며드는게 아닌 구멍을 통해 빠져나간다고 표현을 하면 맞을 것 같습니다. 밀도의 편차로 인한 채널링 부분은 과소추출이 발생하며..

안녕하세요. 커피에 가치를 더하다 빈플랜트입니다. 포터필터 바스켓에 원두를 균일하게 담아(Dosing) 포티필터 바스켓 내부의 원두를 균일하게 해주는 레벨링과 디스트리뷰션은 커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상적으로 알려주는 칠침봉(Seven Needle)에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칠침봉은 7개의 침으로 구성된 봉인데 실제 칠침봉이라 통용되며 시중의 칠침봉은 모두 7개~12개 사이의 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십이침봉 이렇게 부르지는 않습니다!!) 가느다린 침등을 이용하여(칠침봉) 바스켓 내부의 원두를 고르게 분포시켜주는 행위를 WDT라고 합니다. WDT(Weiss Distributin Technique) 칠침봉을 사용하면 좋은 장점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커피 추출시 발생하..